본문 바로가기
은퇴준비/은퇴 공부

행동주의 펀드 사례들...

by lonewhitedot 2023. 5. 26.
반응형

행동주의 펀드는 기업의 경영에 불만을 가진 투자자들이 주주권을 행사하여 기업의 성과를 높이고 주가를 상승시키려는 펀드야.

한국에서는 2000년대부터 여러 행동주의 펀드가 등장했고, 몇몇 기업들에게 영향을 미쳤어.

예를 들면, 에스엠 엔터테인먼트는 얼라인파트너스라는 행동주의 펀드가 이수만 창업자의 경영권을 문제 삼아서 주주들을 결집시켰고, 이수만이 물러나게 됐어.

아 글고 외국이지만, 포켓몬고 출시하게 된 것도 좀 유명하지. 닌텐도는 오아시스 매니지먼트라는 행동주의 펀드가 모바일 게임을 내야 한다고 요구했고, 그 결과 포켓몬고가 출시되었어.

KT&G는 칼 아이칸이라는 행동주의 펀드가 배당 성향, 유휴부동산 처분, 한국인삼공사 상장, 자사주소각 등을 요구했고, 그중 일부를 수용하기도 함. 글고 칼 아이칸은 좀 유명하고..

또 다른 사례들로는...

좀 옛날에는 SK텔레콤은 1999년 미국계 헤지펀드 타이거펀드가 경영권을 노렸고, SK그룹이 주주들에게 투표권을 달라고 호소하면서 대결이 벌어진적도 있고..

삼성전자는 2015년 삼성물산과 제일모직의 합병에 반대한 엘리엇매니지먼트라는 행동주의 펀드와 법정 싸움을 벌였고, 2016년에는 삼성전자의 인적 분할과 주주환원 등을 요구한 사건도 유명하고....

컴투스는 올해 KB자산운용이 적극적인 주주행동주의에 나서서 배당성향을 높이고 분기 배당을 실시하게 하기도 했지.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