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개발26

dagger 개념 Dagger는 안드로이드에서 사용하는 의존성 주입 프레임워크 중 하나야. Dagger는 컴파일 타임에 의존성을 주입하기 때문에 런타임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어. 또한, 자동으로 코드를 생성해주기 때문에 코드의 중복을 줄일 수 있고, 유지보수가 용이해져. 하지만 Dagger는 학습 곡선이 살짝 있어. 더 줄여서 얘기라면 의존성 주입 코드 작성할 때 나오는 보일러 코드를 Dagger를 이용해서 어노테이션 쓰고 하면 알아서 작성해주는 라이브러리야. 2023. 2. 16.
의존성 주입 개념 의존성 주입은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에서, 객체 간의 의존성을 낮추기 위한 디자인 패턴 중 하나야. 의존성은 객체들 사이에서 서로 상호작용을 하기 위해 필요한 관계를 의미하는데, 이러한 의존성이 높으면 유지보수가 어려워질 수 있어. 예를 들면, A 객체가 B 객체를 사용하고 B 객체가 C 객체를 사용하는 경우, A 객체는 B 객체와 C 객체에 의존성이 있는 것이지 그래서, 의존성 주입은 객체를 생성하거나 실행하는 시점에, 외부에서 필요한 의존 객체를 전달해주는 방법이야. 이를 통해 객체 간의 결합도를 낮추고, 유연성과 확장성을 높일 수 있어. 생성자 주입, setter 주입, 필드 주입 등의 방법으로 의존성 주입을 할 수 있어. 이를 사용하면 객체 간의 의존성을 외부에서 설정하므로, 코드의 유연성과 확장성.. 2023. 2. 1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