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개발/간단하게...16

maven이란? 개념 Maven은 자바 기반 프로젝트의 빌드, 관리, 배포를 자동화하기 위한 도구야. Maven은 Apache Software Foundation라는 곳에서 개발하였으며, 프로젝트의 라이프사이클 관리와 의존성 관리를 중심으로 제공하지. 배포하는 입장이 아니라 받아 쓰는 입장에서 젤 중요한거가 의존성! Maven은 미리 정의된 라이브러리 의존성 관리를 통해 필요한 라이브러리를 자동으로 다운로드하고 관리할 수 있어. 또한, Maven은 다양한 프로젝트 정보(이름, 버전 등)를 XML 파일 형태로 관리하며, 이를 통해 프로젝트 설정 및 배포를 관리할를 해. 쓰는 입장에서 정리해보면, 어떤 오픈소스 라이브러리를 받는데, 그 프로젝트 들도 다른 러이브버리를 참조하고 있을 수 있자나. 예를 들어, A라는 라이브러리를 내.. 2023. 2. 20.
Android Manifest에서 뭐 하는거야? Android Manifest는 안드로이드 앱의 구성 정보를 담고 있는 XML 파일이야. 이 파일은 안드로이드 앱 개발에 있어 필수적인 요소로, 안드로이드 운영체제에서 앱을 설치하거나 실행할 때 필요한 정보를 담고 있어. 뭐뭐가 드가냐면, 앱의 이름, 액티비티, 서비스, 브로드캐스트등에 대한 정보, 그리고 권한, 라이브러리,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요구 사항 등을 미리 정의해 놓는겆. 안드로이드에서는 Android Manifest를 이용하여 앱을 실행할 때 필요한 정보를 읽어와서 처리하는거지. 또한 Android Manifest 파일에 앱의 버전 정보, 앱 아이콘, 설명, 앱 링크 등의 메타 데이터를 추가할 수 있어. 안드로이드 스튜디오에서는 앱 생성하면 Android Manifest 파일이 자동으로 생.. 2023. 2. 18.
Gradle이 뭐야? Gradle은 안드로이드 스튜디오와 같은 개발 도구에서 사용되는 빌드 자동화 도구야. 프로젝트 빌드, 의존성 관리, 테스트, 배포 등의 작업을 자동화하기 위해 사용된다고 하는데... 배포는 나도 잘 모르겠네. 리눅스 Makefile이랑 같다고 보면됨. 빌드할때 어떻게 해라 뭐 이런걸 작성하는거지. Gradle은 Groovy라는 언어를 사용하여 그 어떻게 해라를 스크립트로 작성하는거지. 특히 Gradle은 프로젝트의 각 모듈에서 다른 모듈에 대한 의존성을 관리할 수 있어서, 효율적이고 편하게 프로젝트를 빌드할 수 있지. 첨부터 내가 다 작성해본저은 없어. 보통 안드로이드 스튜디오에서 Gradle을 사용하게되고, 기본적으로 세팅이 되어 있어서 더욱 쉽게 안드로이드 앱을 개발할 수 있게해줘. Gradle이 자.. 2023. 2. 18.
코루틴 간단 개념 코루틴은 비동기적으로 작업을 수행할 때 쓰이는 것이야. 스레드와 같은 역할을 하는데, 스레드보다 가볍고 메모리를 적게 사용하면서 동시에 여러 작업을 할 수 있어. 일반적으로 비동기 작업은 콜백 함수나 RxJava와 같은 라이브러리를 사용하여 구현되지만, 이러한 방법은 코드를 복잡하게 만들고 디버깅하기 어렵지. 특히 RxJava같은 경우 학습커브가 꽤 높고. 근데 코루틴을 사용하면 코드가 비동기적으로 실행되지만, 동기적으로 작성할 수 있어. 즉 그냥 동기적으로만 생각해서 코드를 짜고 중간에 일시 중지를 하면, 이때 다른 코루틴을 알아서 실행해주지. 그래서 한 번에 여러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해줘. 그러다 보니 코드를 더 읽기 쉽고 유지 보수하기 쉽게 만들어주지 그리고 Kotlin 언어에 내장되어 있어서 .. 2023. 2. 1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