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퇴준비/은퇴 공부

건설에서 브리지 론 bridge loan 이란?

lonewhitedot 2023. 2. 18. 11:59
반응형

건설에서 브리지 론(bridge loan)은 대출의 일종으로, 일시적인 자금이 필요한 경우에 사용하는 대출이야. 일반적으로 건설 프로젝트나 부동산 거래와 같은 경우 비교적 긴 기간 동안 대출금이 필요하겠지?

예를 들어, 건설사가 새로운 아파트 단지를 짓기 위해서는 많은 자금이 필요할꺼야. 그러나 아직은 아파트를 판매하여 수익을 얻기 전이므로, 이러한 프로젝트를 위해서 자금이 많이 필요하겠지? 그은데! 1금융권에서 제대로된 대출을 받기위해서는 조건이 까다로울 꺼야. 아직 공사가 확정된거도 아니고, 예를 들어 이제 땅 살려고 하는데 돈 좀 빌려주세요 라고 1금융권에 말하면 빌려주겠음? 뭐 한국에서 아파트는 확실하니깐 빌려줄듯 싶기도 해도, 결국 땅 다 못사서 중간에 드롭되면 그 빌려준 돈은 부실채권이 될꺼자나. 그래서 초반에 확실히 공사 시작! 할수 있게 세팅할 필요가 있고 이때도 돈이 꽤 드가니깐... 그 돈을 위해서는 브리지 론이라는 일으키는 거지. 초반에 브리지 론으로 일시적인 자금을 대출받아 건설 프로젝트를 셋업하고 이제 시작하게 되면 1금융권에서 제대로 빌리고 이 돈은 바로 상환하는거지. 초반에 리스크가 좀 있으니깐 이자도 비싸지. 즉 이름답게 제대로 된 대출 전에 징검다리 역할 해주는 대출인거야.

참고로 건설사는, 아파트 단지가 판매되어 수익이 발생하면 그걸로 1금융권 대출도 갚아.

정리하면 브리지 론을 일으켜서 셋업하고, 셋업되면 1금융권에서 빌려서 브리지론은 상환하고, 아파트 다 지어서 다 팔면 그 돈으로 1금융권 대출도 상환하는 순서지.

이번에 대우 건설이 울산에 아파트 시공권 포기하면서 손해본거도 브리지론 대출에 대한 담보였던거고. 이번에 뉴스 보면서 브리지론이 뭔가 해서 알아본거야. 조금씩 알아야 나중에 뉴스볼땨도 좀 더 편하게 이해할 수 있을테니깐.

반응형